아침에 입안이쓴증세가 나타나면, 아직 아무것도 안 먹었는데 입안에 왜 이런 느낌이 드는지 궁금한데요.
'혹시 혀에 무슨 문제가 생긴 건 아닐까?'라는 걱정이 들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이 입안이 쓸때 원인은 무엇일까요?
1. 피로 누적
현대인들은 스트레스도 많이 받고,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해 피로를 잘 풀지 못합니다. 이를 해소하는 방법도 잘 모르고, 술을 마셔서 풀려고 하지만 오히려 스트레스나 피로가 더 쌓이기만 합니다.
이렇게 피로가 누적되면 심장이나 간 등의 기관에 열이 오른다고 하는데요. 이때 이 열들이 입안까지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그래서 열이 오른 구강이나 혀는 수분을 날려보내 혀가 말라 쓴 느낌을 주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2. 구강 질환
입안이 쓴 이유 중 가장 흔한 원인이 되는 것이 구강 질환인데요. 구강질환이란 구내염, 입안이나 치아 등의 염즘 등 다양한 질환이 있는데요. 이런 질환들은 입안 환경을 불균형을 초래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구강 질환이 있으면 침 분비도 제대로 안 되고, 수분 조절도 제대로 안 된다고 합니다. 이런 경우 쓴맛이 느껴진다고 합니다. 구강 질환의 원인으로 입안이 쓸때는 어떠한 질환인지 원인을 알고 그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치료 방법이 되겠습니다.
3. 소화기 질환
입은 음식물을 섭취해서 소화기관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데요. 이 소화기관들에 문제가 생기면 입까지 덩달아 문제 증상이 나타나곤 합니다. 특히 입과 가까운 위장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에 입안에 쓴맛이 느껴지는데요.
식사를 할 때 과식을 자주하거나, 술을 너무 많이 마셔 자주 토하거나 하는 등의 문제로 위가 망가지게 될 수 있는데요. 이러면 속에만 문제가 생기는 게 아니라 점점 몸 겉으로 안 좋은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때는 올바른 생활습관으로 바꾸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4. 이 질환
입안이 쓸때 그 이유가 이빨이나 잇몸인 경우도 있습니다. 충치가 생기거나 잇몸에 염증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생기면 쓴 맛이 나기도 한다고 하는데요. 이때는 치과에 가서 검진을 받아보고 문제를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까지 입안이 쓴 이유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몸에 평소와 다른 이상한 증세가 있다면 무언가 문제가 생긴 것일 수 있습니다. 그러니 몸에서 보내는 경고 신고를 무시하지 마시고 관심있게 살펴보셔서 재빨리 조치하시기 바라겠습니다.
▼많이 보는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