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월 19일 화요일

입안이 마르는 증상 | 구강건조증 치료법은?



 오늘은 입안이 마르는 증상에 대해 알아볼텐데요.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원인들을 알아서 원인을 제거하고, 관리를 잘 해준다면 입안이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요.

 입안이 마르는 증상에 대해 살펴보고, 구강건조증 치료법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입안이 마르는 이유는?

1. 건조함

 요즘과 같은 겨울철이면 특히 심해지는데요. 공기가 건조하거나 입이 건조한 경우 입안이 자꾸 마르게 됩니다. 이는 질병이나 질환이 아니라 어느 정도 자연스러운 현상일 수 있는데요.

 다른 증상은 나타나지 않고 입만 건조할 경우 수분 섭취에 신경을 써주셔야 합니다. 물을 많이 마셔야 건강하다고 하는데요.

 하루에 2L를 마시는 것이 좋다고는 하지만 우리가 먹는 음식에도 포함되어 있고, 사람마다 섭취해야 하는 양이 다르기 때문에 적당히 마셔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2. 스트레스

 스트레스 또한 입이 건조해지는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우리의 입안이 평소에 촉촉한 이유는 침 분비가 적절하게 이루어져서 그런데요.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되면 침 분비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럴 경우 당연히 스트레스를 풀어주어야 하는데요. 나만의 스트레스 해소법이 있다면 그대로 활용해주시고, 만약 없으시다면 운동을 꾸준히 하시거나, 즐거운 취미생활을 하나쯤은 배우시는 것도 좋은 해소법이라고 합니다.


3. 구강건조증

 구강 건조증이란 쉽게 말해 입안의 건조함을 느끼는 것인데요. 일반적으로 분비되는 침의 양보다 적게 분비가 되거나, 숨을 쉬거나 말을 하면서 입안의 수분이 빠르게 증발하는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라고 합니다.

 구강건조증의 원인으로는 당뇨나 영양소 결핍, 노화 등 다양한 원인이 있다고 합니다. 처음에도 말씀드렸지만 원인을 알 수 있다면 그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치료법이 되겠구요.


 침 분비를 촉진하는 약물을 통해 입안의 수분을 보충해주는 방법도 있다고 합니다. 또 염증이 생겨 건조함이 생길수도 있기 때문에 소독 작용을 할 수 있는 가글액을 사용하여 관리를 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입안이 마르는 증상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위 구강건조증 치료법을 통하여 치료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평소에 관리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스트레스 관리와 더불어 건강관리에 더 신경을 써주시고, 자주 수분을 섭취하는 습관을 들인다면 더 좋겠죠?

▼많이 보는 글▼
====================